본문 바로가기
자연&환경&기후변화

오염되지 않는 흙에 지렁이가 살면 건강한 흙일까?

by 웹토끼2008 2025. 10. 3.
반응형

지렁이는 건강한 흙의 지표 생물

지렁이는 일반적으로 유기물이 풍부하고, 적당히 습하고, 통기성이 좋은 흙에서 잘 삽니다.
이런 환경은 식물에게도 좋기 때문에, 지렁이가 산다는 건 그 흙이 건강할 가능성이 크다는 뜻입니다.

 

지렁이는 유기물을 분해해 식물에 영양분 제공하고, 흙을 부드럽게 하고 통기성 증가시키며, 미생물 활동 촉진해

흙을 개선합니다.

 

하지만 "지렁이가 있다고 무조건 건강한 흙"은 아닙니다.

반례를 한번 보겠습니다.

산성도가 너무 높은 흙은 일부 지렁이 종은 살 수 있지만, 대부분 식물에게는 해로운 환경입니다.

중금속 오염이 있는 흙은 지렁이가 살아도 중금속을 축적할 수 있고, 식물이 자라긴 해도 안전하지 않습니다.

지렁이만 있고 미생물이 부족한 흙은 건강한 생태계는 아닙니다.

또한, 지렁이는 외래종(북미 지역에 유입된 아시아계 지렁이) 일 경우 생태계 교란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오염되지 않은 흙 + 지렁이 = 건강한 흙일 가능성이 높지만 "지렁이가 있다"는 것만으로 건강한 흙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건강한 흙은 다양한 생물, 적절한 pH, 유기물, 통기성, 수분 등이 종합적으로 갖춰져야 합니다.

 

지렁이 생태와 흙의 관계

지렁이는 단순한 흙 속 생물이 아니라, 흙의 건강을 지키고 유지하는 핵심 생물입니다.

1. 지렁이는 흙 속에서 살아가는 생물

지렁이는 토양 생태계의 일부로, 대부분 흙 속에서 유기물을 먹고 삽니다.

낮에는 흙 속 깊이 숨어 있다가, 밤에 땅 위로 나와 먹이를 찾거나 이동합니다.

습기 있고, 유기물이 풍부한 흙을 좋아해요.

2. 지렁이는 흙의 상태에 영향을 준다

① 흙에 공기를 넣어줌 (통기성 증가)

지렁이는 흙 속을 파고 다니며 터널을 만드는데, 이 터널은 흙 속에 공기와 물이 잘 통하게 하고 식물 뿌리도 숨을 쉴 수 있게 됩니다.

 

② 물 빠짐과 보습을 도와줌

지렁이 터널 덕분에 빗물이나 관수된 물이 잘 스며들고, 흙이 물을 오래 머금는 보습성도 좋아집니다.

 

③ 유기물을 분해해 영양분 제공

지렁이는 낙엽, 썩은 뿌리 등 유기물을 먹고 소화한 뒤, 영양분이 풍부한 배설물(분변토)을 만들어 흙을 비옥하게 합니다.

 

④ 흙 속 미생물과 상호작용

지렁이의 소화기관과 배설물 속에는 유익한 미생물이 많은데, 이 미생물들은 유기물 분해, 질소 고정, 병원균 억제 등에 도움을 줍니다. 결과적으로 흙 생태계가 더욱 건강해집니다.

3. 흙도 지렁이에게 영향을 준다

지렁이가 잘 살기 위해서는 흙이 아래 표에 있는 조건을 갖춰야 하는데,  만약 오염된 흙이나 농약이 많은 흙에서는 지렁이가 죽거나 살기 어렵습니다.

조건 설명
습기 너무 건조하면 지렁이가 말라 죽음
유기물 먹이가 있어야 생존 가능
산소 지렁이는 피부로 호흡하므로 공기가 필요한 흙이어야 함
적절한 pH 너무 산성 또는 알칼리성이면 살기 어려움

 

지렁이는 흙에서 살아가며, 흙을 더 건강하게 만들고, 흙은 지렁이가 살기 좋은 환경을 제공하는 상호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이처럼 지렁이와 흙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공생 관계입니다.

지렁이가 흙에서 하는 일은?

지렁이는 흙 속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지렁이를 흔히 "자연의 농부"라고 부르는 이유가 있습니다.

1. 흙을 부드럽게 하고 숨 쉬게 함 (통기성 향상)

지렁이는 흙 속을 파고 다니면서 굴(터널)을 만드는데, 이 굴은 공기와 물이 통과하는 통로가 되어 뿌리가 잘 자라게 합니다. 결과적으로 뿌리 성장, 미생물 활동이 더 활발해집니다.

2. 유기물 분해해 영양분으로 바꿉니다. (비옥도 향상)

지렁이는 낙엽, 썩은 식물, 유기물을 먹는데, 이걸 분해해서 배설물(분변토)로 내보내는데, 이 배설물이 질소, 인, 칼륨 등 영양소가 풍부합니다. 식물 뿌리가 바로 흡수할 수 있는 형태로 바꿔주는 겁니다.

3. 흙의 구조 개선

지렁이의 움직임과 배설물 덕분에 흙이 뭉치지 않고 입단 구조를 가집니다. 이런 흙은 물 빠짐도 좋고, 마르지도 않아서 식물이 자라기 좋은 상태입니다.

4. 미생물과 함께 작동 (토양 생태계 균형 유지)

지렁이 몸 안과 배설물 속에는 미생물이 많습니다. 이 미생물들이 흙에서 분해 작용을 도와 건강한 토양 생태계를 만듭니다.

5. 중금속이나 오염물질 정화 보조 (일부 종)

몇몇 지렁이는 중금속을 몸에 흡수하거나 덜 유해한 형태로 바꾸는 능력도 있습니다. 이건 “토양 복원 생물학”에서 활용되기도 합니다.


지렁이가 중요한 이유

지렁이가 중요한 이유는 간단히 말하면 흙을 건강하게 만들어 식물이 잘 자라게 도와주기 때문이며, 생태계에서 없어서는 안 될 ‘흙의 조력자’입니다.

1. 흙을 비옥하게 만든다

지렁이는 낙엽, 죽은 식물, 썩은 뿌리 같은 유기물을 먹고 분해하는 결과로 배설물(분변토)은 영양분이 풍부해서 식물 비료 역할을 합니다.

2. 흙의 구조를 좋게 만든다

지렁이가 파놓은 굴(터널) 덕분에 흙이 단단하게 뭉치지 않고, 공기와 물이 잘 통하는 구조가 됩니다. 이렇게 하면 식물 뿌리가 더 쉽게 자라고, 물도 잘 스며들어요.

3. 미생물과 함께 흙 생태계를 살린다

지렁이 몸속과 배설물에는 유익한 미생물이 많습니다. 이 미생물들은 유기물을 더 잘 분해하고, 흙 속 생명 활동을 활발하게 만듭니다.

4. 농작물 생산에 도움을 준다

비옥하고 건강한 흙에서 자란 작물은 성장도 빠르고, 병도 덜 생깁니다. 실제로 지렁이가 많은 밭에서는 비료와 농약을 적게 써도 작물이 잘 자라요.

5. 환경을 복원하는 데 쓰인다

어떤 지렁이는 중금속이나 유해물질이 있는 흙에서도 살아남고, 이를 정화하는 데 도움을 줘서 오염된 땅을 회복시키는 자연 복원 프로젝트에 활용되기도 합니다.

흙 속에 지렁이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

지렁이는 흙을 건강하게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지렁이가 없으면 흙의 상태와 생태계에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흙 속에 지렁이가 없다면 생기는 일

1. 흙이 딱딱해지고 숨 쉬지 못해요

지렁이는 흙 속을 파고 다니며 터널을 만들어 공기와 물이 잘 통하게 해 줍니다.

지렁이가 없으면 이런 터널이 없어져서 흙이 점점 딱딱해지고 공기와 물이 통하지 않게 되며, 식물 뿌리가 잘 자라지 못하고 썩을 수도 있습니다.

2. 유기물이 썩기만 하고 영양분이 되지 않아요

지렁이는 낙엽, 썩은 식물, 뿌리 등 유기물을 먹고 분해해서 식물이 먹을 수 있는 영양분으로 바꿔줍니다.

지렁이가 없다면 유기물이 흙 위에 쌓이기만 하고, 분해가 느려져 흙이 비옥해지지 않습니다.

3. 흙 속 미생물 활동도 줄어요

지렁이는 유익한 미생물을 몸 안에 지니고 있고, 그 배설물에도 많은 미생물이 있습니다. 지렁이가 없으면 흙 속 미생물도 줄어들고, 흙의 생태계가 약해집니다.

4. 농작물이 잘 자라지 않아요

통기성도 나쁘고, 영양분도 부족하고, 미생물도 없다면 식물(특히 농작물)이 건강하게 자라기 어렵습니다.

비료나 농약에만 의존하게 되고, 오히려 땅이 더 빨리 망가질 수도 있습니다.

5. 자연 생태계 균형이 무너져요

지렁이는 새, 두더지, 개미 같은 다른 동물들의 먹이가 되기도 하는데, 만약 지렁이가 없으면 이런 동물들도 살기 어려워지고, 흙에서 시작되는 먹이사슬이 끊기게 됩니다.


지렁이를 위한 건강한 흙을 만들려면?

1. 유기물을 충분히 넣기

지렁이는 낙엽, 채소 껍질, 과일 찌꺼기, 죽은 식물 같은 유기물을 먹는데, 흙 속에 이런 유기물이 있으면 지렁이가 먹이로 삼고 오래 살 수 있습니다. 음식물 쓰레기(가공되지 않은 채소류)나 퇴비(compost)를 넣어 주세요.

2. 촉촉한 습도 유지

지렁이는 몸으로 숨을 쉬기 때문에, 건조한 흙에서는 살 수 없습니다. 촉촉하지만 물에 잠기지 않은 흙이 가장 좋습니다. 손으로 흙을 쥐었을 때, 약간 물기가 있는 정도가 적당합니다.

3. 통기성 좋은 흙 만들기

지렁이는 공기가 잘 통하는 흙에서 잘 삽니다. 너무 단단하거나 진흙처럼 질척한 흙은 싫어하니 흙에 마른 낙엽, 코코피트, 톱밥, 마른풀 등을 섞어 흙을 부드럽게 해 주세요.

4. 화학 비료나 농약 사용 피하기

농약, 제초제, 화학 비료는 지렁이에게 치명적입니다. 지렁이가 살게 하려면 유기농 방식을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5. 적절한 온도 유지 (약 15~25℃)

지렁이는 너무 덥거나 너무 추운 흙에서 살기 어렵습니다. 여름에는 직사광선을 피하고, 겨울에는 너무 차가운 환경을 피해 주세요.

6. 적당한 pH 유지 (중성~약산성)

지렁이는 pH 6.0~7.0 정도의 흙을 좋아합니다. 너무 산성(pH 5 이하)이나 알칼리성(pH 8 이상)은 피해야 합니다.

계란 껍질 가루 등을 조금씩 넣으면 산성도를 중화할 수 있습니다.

조건 설명
유기물 풍부 낙엽, 채소 찌꺼기, 퇴비 등
적당한 수분 촉촉하지만 물에 잠기지 않게
부드러운 흙 통기성과 배수성이 좋아야 함
무농약, 무비료 화학약품은 지렁이에게 해로움
적절한 온도 15~25℃가 가장 적당
중성에 가까운 pH 약산성~중성이 가장 좋음

참고로 지렁이 좋아하는 음식에는 바나나 껍질, 양상추, 상추 잎, 커피 찌꺼기 (조금만!), 사과 껍질 마른 낙엽 등이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