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토끼2008

바나나와 맛이 비슷한 으름를 아시나요? 본문

건강 & 다이어트/건강&음식&기타

바나나와 맛이 비슷한 으름를 아시나요?

웹토끼2008 2025. 8. 26. 10:00
반응형

으름(Akebia quinata)은 으름덩굴과에 속하는 덩굴성 식물로, 우리나라 남부 지방 산과 들에서 자생합니다.

‘코리안 바나나’라고 불릴 정도로 열매 맛이 바나나와 비슷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으름’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자생하는 덩굴성 식물이며, 특히 가을철에 열리는 열매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으름이란?

학명: Akebia quinata

속명: 으름속 (Akebia)

다른 이름: 오엽등(五葉藤), 목과(木瓜, 다른 의미로도 쓰임)

특징: 낙엽성 덩굴식물로, 다른 나무나 구조물을 감고 자랍니다.

이미지 출처: https://namu.wiki/w/으름 (나무위키)


으름 열매 특징

항목 설명
모양 바나나처럼 길쭉한 타원형
손바닥처럼 5갈래로 갈라집니다. (오엽형)
4~5월경, 자줏빛 또는 보랏빛 꽃을 피웁니다.
암수 꽃이 따로 핍니다.
색상 익으면 보랏빛이 돌며 껍질이 벌어집니다.
열매 9~10월에 길쭉한 열매가 맺히고, 익으면 갈라져 속살이 드러남니다.
반투명 젤리 같은 과육 + 까만 씨앗 다수
속에 씨가 많고 과육은 달콤합니다.
단맛이 있으며, 은은하게 과일향이 느껴집니다.
식물 형태 낙엽성 덩굴식물, 나무를 타고 올라갑니다.
효능 이뇨 작용, 고혈압 예방, 항암 성분, 변비 해소 등
활용 으름차, 으름 효소, 나물로도 먹습니다.
자생지 산과 들, 울타리 주변 등

 


으름 열매 먹는 방법

으름 열매는 가을철(9~10월경)에 익어 껍질이 벌어지면 먹기 좋은 상태가 됩니다.

안의 젤리 같은 과육을 먹는 게 핵심으로 과육만 먹고 씨는 뱉습니다.

껍질은 식감이 질기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튀김이나 볶음용으로 조리하기도 합니다.

약용으로도 사용되며, 이뇨 작용·혈액순환 개선 등에 좋다는 민간 지식도 있습니다.

 

1. 잘 익은 으름 고르기

껍질이 벌어져 속이 보일 정도로 완전히 익은 것을 고릅니다.

껍질이 닫혀 있고 단단한 으름은 아직 덜 익은 상태로 자연 상태에서 껍질이 터질 때까지 기다리는 게 좋습니다.

 

2. 껍질 열고 과육 먹기

벌어진 껍질을 손으로 벌리면 안에 반투명한 젤리처럼 생긴 과육이 있으며, 과육 속에는 검은 씨앗이 여러 개 들어있습니다. 과육만 혀로 쏙 빨아 먹고, 씨는 뱉습니다.

은 은은하고 달콤한 맛이 나며, 약간 리치(용안)나 두리안 젤리 느낌도 있습니다.

 

3. 껍질도 먹을 수 있을까?

껍질은 보통 먹지 않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껍질을 데쳐서 튀김이나 볶음으로 먹기도 합니다.

다소 쓴맛이 있어 조미료(간장, 된장)와 함께 조리하면 괜찮습니다.

 

주의사항!!

덜 익은 으름은 떫고 맛이 없습니다.

단단하고 소화가 되지 않으니 씨앗은 먹지 마세요!

덜 익은 열매는 떫습니다. 꼭 껍질이 벌어질 때까지 기다리셔야 합니다

비슷하게 생긴 독초가 있으니 야생에서 채취할 경우 독성 식물과 혼동 주의!

(예: 백부자 같은 독성 식물과 외형이 헷갈릴 수 있습니다.)

 

으름은 덩굴에서 자라 가을에 열매를 맺는 전통 과일로, 으름은 껍질이 자연스럽게 터졌을 때, 속의 젤리 같은 과육이 달고 맛있어 옛날 아이들의 간식이었습니다. 튀김 등으로 껍질도 활용 가능하지만, 주로 과육만 먹습니다.

또한, 약용식물로도 쓰이는 귀한 자원이며 으름의 어린순은 나물로 먹을 수 있고, 줄기는 바구니나 공예 재료로도 쓰입니다.


으름의 부작용

으름은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건강한 식재료이지만, 과다 섭취하거나 잘못된 방법으로 섭취할 경우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1. 씨앗 섭취 주의

으름의 과육은 먹을 수 있지만, 씨앗은 매우 단단하고 소화되지 않기 때문에 삼키면 위험할 수 있으니, 어린이나 노약자가 실수로 삼키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일부 보고에서는 씨앗에 미량의 알칼로이드 성분이 있다는 이야기도 있으니, 반드시 뱉어야 합니다.

 

2. 과다 섭취 시 설사 또는 복통

으름 과육은 단맛이 강하고 점액질이 풍부하여, 많이 먹으면 설사나 복통이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소화가 약한 사람은 소량만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민간에서는 이뇨 작용이 있다는 말도 있는데, 몸에 따라 탈수나 빈뇨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과용 금지입니다.

 

3. 알레르기 반응 가능성

으름은 일반적인 식품은 아니기 때문에, 알레르기 이력이 있는 분이라면 섭취 전 주의가 필요한데, 특히 새로운 음식에 민감한 체질이라면 처음에는 아주 소량만 먹어보는 게 안전합니다.

 

4. 덜 익은 열매 섭취 시 떫은맛 + 위장 자극

으름 열매는 완전히 익어 껍질이 벌어져야 단맛이 나고 먹기 좋습니다.

덜 익은 열매는 타닌(떫은맛 성분)이 많아 위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5. 유사 식물과의 혼동 위험

자연에서 으름을 채취할 경우, 비슷하게 생긴 독성 식물과 혼동할 수 있습니다.

(예: 백부자, 박새, 등골나물 등의 외형이 유사하나 유독성이 있습니다.)

확실히 식별할 수 없을 경우 채취하지 않는 것이 안전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