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을 감고 100까지 세면 잠을 잘 수 있다"는 말은 완전히 틀린 건 아니지만, 사람마다 효과가 다릅니다.
이 방법은 일종의 수면 유도 기법 중 하나로, 마음속으로 숫자를 세면서 주의력을 분산시켜 걱정이나 잡생각을 줄이기 위한 것입니다.
왜 숫자를 세면 잠이 올까?
단순 반복 작업은 뇌를 진정시키고 릴렉스하게 만듭니다.
숫자를 세는 데 집중하면, 불안하거나 스트레스 주는 생각을 막을 수 있습니다.
숫자 세기는 명상이나 호흡법과 비슷한 효과를 주기도 합니다.
효과적으로 숫자 세는 팁
1부터 100까지 천천히, 예를들어 숨 들이쉴 때 "1", 내쉴 때 "2"처럼 호흡에 맞춰 세어보세요.
숫자 대신 양을 센다거나, 무언가를 상상하면서 세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만약 100까지 세고도 잠이 안 오면, 다시 1부터 시작해 보세요. 포기하지 말고 몇 번 반복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잠이 안 올 때 다른 팁!
스마트폰 멀리 두기
화면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는 수면 유도 호르몬인 멜라토닌 분비를 방해해요.
수면 루틴 만들기
같은 시간에 자고 일어나면 몸이 자연스럽게 그 시간에 졸려 해요.
호흡 조절 (예: 4-7-8 호흡법)
4초 들이마시고, 7초 숨 참고, 8초 내쉬는 패턴
편안한 음악, 백색소음 듣기
카페인 줄이기 (특히 오후 이후)
눈을 감고 100까지 세는 방법은 과학적 근거가 어느 정도 있는 수면 유도법입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효과적인 건 아니니, 본인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보는 게 중요합니다.
잠이 오지 않을 때 꼭 자야 되나?
반드시 자야 하는 건 아니지만, 억지로 자려고 애쓰는 건 오히려 역효과일 수 있습니다.
수면은 기억, 면역력, 감정 조절, 신진대사 등 여러 가지에 영향을 주지만 하룻밤 잠 못 잤다고 큰일 나는 건 아닙니다. 다음 날 조금 피곤할 수 있지만, 몸은 금방 회복합니다.
왜 억지로 자려하면 더 잠이 안 올까?
“자야 해!”라는 압박감이 스트레스를 유발해서, 뇌가 오히려 더 각성됩니다.
이걸 "수면 불안(Sleep Anxiety)"이라고도 합니다.
“내일 중요한 일이 있는데 잠 못 자면 어쩌지?”라는 생각 자체가 각성 상태를 만들어서 더 잠을 못 자게 만듭니다.
그래서, 잠이 안 올 땐 어떻게 해야 할까?
🔹 20~30분 정도 누워 있어도 잠이 안 오면, 그냥 일어나세요.
밝은 조명은 피하고, 조용한 활동을 해보세요.
예: 책 읽기, 잔잔한 음악 듣기, 명상, 간단한 스트레칭
🔹 뇌에게 “괜찮아, 안 자도 돼”라고 알려주기
아이러니하게도, "꼭 자야 해!"라는 생각을 내려놓으면 잠이 더 쉽게 올 수 있습니다.
🔹 졸릴 때 다시 누우세요.
이게 수면의 자연스러운 리듬을 되찾는 데 도움이 됩니다.
'건강 & 다이어트 > 건강&음식&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들레의 효능과 부작용...주의할점은? (0) | 2025.10.19 |
---|---|
수면이 부족하면? (0) | 2025.10.16 |
상추가 수면에 도움을 준다는 속설이 사실일까? (0) | 2025.10.15 |
뽕잎, 오디, 뽕나무...효능과 주의할 점 (0) | 2025.10.13 |
만성염증이 정말 살을 찌게하는 원인? (0) | 2025.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