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들레의 효능과 부작용...주의할점은?
민들레는 나물일까 아니면 약용식물일까?
민들레는 나물이기도 하고 약용 식물이기도 합니다. 두 가지 성격을 모두 지닌 식물입니다.
원하는 목적에 따라 식용도 되고 약용도 되는, 다재다능한 식물이 바로 민들레입니다.
1. 나물로서의 민들레
봄나물로 많이 이용됩니다.
어린잎을 데쳐서 나물 무침이나 된장국, 비빔밥 등에 넣어 먹습니다.
쓴맛이 있으나, 데치면 줄고 향긋한 맛이 납니다.
🔸 먹는 부위: 주로 잎
🔸 조리법: 데치기, 무침, 국 등
2. 약용 식물로서의 민들레
한의학, 민간요법에서 약재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간 기능 개선, 염증 완화, 이뇨 작용, 해열, 종기 치료 등에 쓰입니다.
특히 민들레 뿌리(포공영, 蒲公英)는 약재로 많이 쓰입니다.
🔸 사용하는 부위: 전초(전체 식물), 뿌리, 잎
🔸 약효: 간염, 위염, 유선염, 해독, 소염 등
민들레의 효능과 부작용...주의할 점
민들레는 효능이 뛰어난 약용 식물이자 식재료지만, 체질이나 사용량에 따라 부작용이나 주의사항도 있습니다.
민들레의 주요 효능
1. 간 기능 개선
민들레 뿌리는 간 해독, 간염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특히 포공영(蒲公英)이라 불리며 한방에서 간 질환 치료에 사용합니다.
2. 소염 및 해독 작용
염증을 줄이고, 피부 질환이나 종기, 여드름 등에 민간요법으로 사용합니다.
여성의 유선염(젖몸살)에도 민들레즙을 바르거나 마시기도 합니다.
3. 소화 촉진 & 위장 건강
위액 분비 촉진, 소화 기능 개선, 식욕 증진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4. 이뇨 작용
몸의 노폐물 배출을 도와 부기 제거, 소변 배출이 증가
5. 항산화 및 면역력 강화
플라보노이드, 비타민 A/C 등 함유, 항산화 효과, 면역력 향상
민들레의 부작용과 주의할 점
1. 쓸개/담즙 관련 질환자 주의
민들레는 담즙 분비를 촉진하므로 담낭염, 담석증 있는 사람은 복용 금지 또는 의사 상담이 필요합니다.
2. 알레르기 가능성
국화과 식물(쑥, 국화 등)에 알레르기 있는 사람은 주의, 피부 발진, 가려움, 호흡기 문제 가능성이 있습니다.
3. 과다 복용 시 설사/복통
이뇨작용이 강해 몸이 냉한 체질이거나 과다 복용 시 설사, 복통, 탈수 증상 생길 수 있습니다.
4. 임산부나 수유부는 전문가 상담
전통적으로 유즙 분비 촉진 등에 쓰였지만, 임산부·수유부는 민간요법으로 남용 금지
5. 약물 상호작용
이뇨제, 당뇨약, 항응고제 복용 중인 사람은 민들레가 작용을 강화하거나 충돌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민들레 말리는 방법과 보관법
민들레를 잘 말리고 보관하면 오랫동안 차나 약용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1. 민들레 말리는 방법
1) 수확 시기
봄(3~5월): 잎이 부드럽고 쓴맛이 덜함니다.
가을(9~10월): 뿌리가 약재로 쓰기에 가장 좋습니다.
2) 부위별 준비
잎 (또는 전체 식물)은 흙과 이물질을 깨끗이 씻습니다.
물기를 키친타월 또는 자연 건조로 완전히 제거, 줄기/잎은 4~5cm 정도로 자르면 건조가 빠릅니다.
뿌리는 칼로 흙을 살살 긁어내고 흐르는 물에 세척하고, 0.5~1cm 두께로 슬라이스, 물기 제거 후 건조합니다.
3) 건조 방법
◆ 자연 건조 (햇볕 또는 그늘)
햇볕은 빠르게 말리지만, 너무 강하면 유효 성분이 파괴될 수 있습니다.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3~5일간 말리는 것이 가장 일반적입니다.
건조망이나 체에 펼쳐놓고 하루 1~2번 뒤집어 주세요.
◆ 전기 건조기 (있다면 추천)
35~45도 저온으로 6~10시간 건조
뿌리는 더 오래 걸릴 수 있어요 (10~12시간)
2. 민들레 보관법
◆ 말린 민들레 보관 방법
습기 없는 밀폐 용기에 담는데, 유리병, 지퍼백, 건조제 함께 넣으면 더 좋습니다.
직사광선 피하고, 서늘하고 어두운 곳에서 보관합니다. 최대 6~12개월 보관이 가능합니다.
냄새나 색이 변하면 폐기합니다.
3. 민들레 보관 시 유의사항
습기 차면 곰팡이 발생 위험, 완전히 건조된 후 밀봉
잎과 뿌리를 따로 보관하면 활용도 높아집니다.
차로 쓸 경우, 프라이팬에 약하게 덖어서 보관하면 향이 오래갑니다.
민들레차 만드는 법
1. 생잎 또는 생뿌리로 끓이는 법
재료
민들레 생잎 또는 생뿌리 약 20~30g
물 약 1리터
만드는 방법
민들레를 깨끗이 씻어 흙과 불순물을 제거합니다.
뿌리는 칼로 살짝 긁어서 세척하면 좋습니다.
씻은 민들레를 물 1리터에 넣습니다.
중 약불에서 15~20분 정도 끓입니다.
색이 진하게 우러나면 불을 끄고, 건더기는 걸러냅니다.
따뜻하거나 식혀서 음용하세요.
2. 말린 민들레차 만드는 법 (잎/뿌리 모두 가능)
준비
민들레 잎이나 뿌리를 깨끗이 씻고, 그늘에서 완전히 건조합니다.
(선택) 프라이팬에 살짝 덖으면 더 고소하고 보관도 오래 가능합니다.
재료
말린 민들레 10~15g
물 1리터
만드는 방법
물 1리터를 냄비에 붓고 끓입니다.
물이 끓기 시작하면 말린 민들레를 넣습니다.
약불에서 15분 정도 우려냅니다.
걸러서 컵에 담고 마시면 됩니다.
보관 시에는 식혀서 냉장 보관이 가능합니다. (2~3일 이내)
맛이 너무 쓰다면?
대추, 생강, 감초, 꿀 등을 함께 넣어 끓이면 맛이 부드러워집니다.
레몬 슬라이스를 넣어도 산뜻한 풍미를 더할 수 있어요.
하루 섭취 권장량
하루 1~2잔 정도가 적당
위장이 약하거나 처음 마시는 경우 연하게 끓여 소량 섭취 시작